- application.yml에 include 하면 되는데 굳이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이유는??
https://www.baeldung.com/spring-yaml-propertysource
@PropertySource with YAML Files in Spring Boot | Baeldung
A quick and practical guide to handling YAML files with @PropertySource in Spring Boot.
www.baeldung.com
- @PropertySource
https://ryudung.tistory.com/23
스프링 프로퍼티 설정 주입1 - @PropertySource와 Enviroment
스프링 프로젝트를 하면서 jdbc 설정 값, version 등과 같이 정적인 데이터를 프로퍼티로 많이 사용합니다. 우리는 프로퍼티를 annotation으로 쉽게 외부값을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스프링에��
ryudung.tistory.com
https://velog.io/@lsb156/Spring-Boot-Properties-Usage
Spring Boot - Properties 사용법 정리
Spring에서 Properties는 설정 중 가장 기본적이면서 또한 가장 자주 들어오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. 그래서 자주 사용하는 properties 적용 패턴을 kotlin 언어로 정리해보았습니다.
velog.io
'spring-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TF-8 설정 (0) | 2020.09.13 |
---|---|
static 파일 cache 문제 해결(?) (0) | 2020.08.27 |
spting boot2에서 HTTP postMaxSize 늘리기 (0) | 2020.08.18 |
Inject a Map from YAML File with Spring AND @Bean 어노테이션 붙이는 메소드에서 처리법 (0) | 2020.08.04 |
JNDI설정 (0) | 2020.07.22 |